로더

스킵 네비게이션


자유게시판

<전북춤뿌리찾기-무용>5월8일
도립국악원 | 2008-05-06 | 조회 2463
☆ 목요국악예술무대 및 기획공연은 도민 여러분을 위해 무료로 공연합니다.
☆ 보다 편안한 관람을 위해서는 사전 예약 제도를 이용하세요. (8세 이상 입장 가능)
홈페이지예약: http://www.kukakwon.or.kr
------------------------------------------
제18회 전라북도립국악원 무용단 정기공연
전북 춤 뿌리 찾기
-춤, 그 원형을 찾아서-
------------------------------------------
○ 일시 : 2008년 5월 8일(목) 저녁7시30분
○ 장소 : 한국소리문화의전당 연지홀
○ 주최 : 전라북도립국악원
○ 문의 : 063)252-1395, 254-2391

■ 프로그램

<1부>

1. 전주 학춤

허균의 『성소부부고』의 내용에 의하면 ‘삼례(三禮)에서 점심을 먹고 전주에 들어가는데, 판관이 기악과 잡희로 반마장이나 나와 맞이했다. 북소리 피리소리로 천지가 시끄럽고 상학(학춤), 천오, 쌍간, 희환, 대면 등 온갖 춤으로 길을 메우니, 구경하는 사람들이 성곽에 넘쳤다’라는 기록으로 보아 전주에서 학무가 연희되었음을 알 수 있다. 구전에 내려오던
동작으로는 먹이줍기, 날개치기, 꼬리치기, 날개고르기 등이 있으며 전주학춤은 지역성의 영향을 받아 춤이 폭 넓고 동적이면서도 모나지 않고 둥글면서 즉흥성이 강한 춤으로 발전 하였다고 한다.

2. 전라삼현승무

승무는 인간 내면의 심성을 표현하는 춤으로 민속무용 중 가장 대표적인 춤이다.
전주지방에서 추어졌던 승무는 전라삼현 음악에 맞추어서 추는데, 다른 지방 승무와는 형식에서 조금 다르다. 염불, 반염불, 굿거리, 북 놀음, 타령 순으로 이루어지며, 당차면서도 활기찬 동작이 특징이다. 전주농고에서 정형인 선생님이 가르치시던 승무가 유일하게 남아 있어 그 승무를 토대로 구성되었다.


<2부>영산재

-- 프롤로그  --

● 관욕게

- 관욕게 바라춤 : 身ㆍ意 삼업에 의해 가려진 마음의 때를 씻어버리기 위하여 행하는 바라춤

- 요잡바라춤 : 막바라, 평바라 라고도 하며 바라춤의 기본동작이라고 할 수 있는데 두개의 바라를 포개어 올렸다 내리는 동작과 한팔씩 휘돌리는 동작을 반복

- 법고춤 : 진리의 북춤으로 세상의 모든 축생을 구제하기 위해 북을 두드리며 추는 춤인데 삼륜계 중생이 북소리를 듣고 지혜를 얻어 따라오게 하기 위해 추는 춤

● 복청게(伏請偈)

- 천수바라(千手鈸羅)춤 : 천수천안관세음보살의 중생구제를 위한 대자대비의 대원을 몸짓으로 보여주는 신밀(身密)과 신묘장구대다라니의 구밀(口密)에 의밀(意密)이 하나가 되어 삼밀가지를 이루는 가운데 추어지는 해탈무, 또는 열반무의 형식을 갖춘 불교무용.

- 다게작법(茶偈作法)춤 : (나비춤) - 부처님께 올리는 차(茶) 공양

● 진언권공(眞言勸供) - (사다라니를 외워 공양 하는 것) 香. 燈. 茶. 花. 果 오공양을 올림

- 사다라니 바라춤 : 공양을 올린 후 사다라니를 독송하여 공양이 법식으로 변하여 불과(佛果)를 얻게 될 것을 소원하고 성취하고자 하는 의미의 바라춤.

● 운심공양진언(運心供養眞言)

- 나비춤 : 천상천하의 모든 신들과 일체의 생물들 중 소생하지 못한 미물을 소리를 내어 불러들이고 죄를 참회시켜 부처님께 귀의 하도록 하기 위하여 추는 춤

● 화청(和請)

- 부모은중경 : 낳고 기른 노고가 하늘 같은 부모님의 은혜를 생각하며 자신을 돌아보며 참회함
- 왕생가 : 이상의 세계 극락국토에 탄생하고자 착한 마음으로 선근공덕을 많이 쌓기를 간청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