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예술의 미래를 여는
: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
전라북도립국악원 [목요국악예술무대]
2014년 9~12월
매주 목요일 저녁 7시 30분
한국소리문화의전당 명인홀
주최 : 전라북도립국악원
문의 : 063)290-5531-4, 290-6450
공연예약 : www.kukakwon.or.kr
프로그램
9월11일 _무용단공연
드라마로 만나는 우리 춤 이야기
1. 처용무(해를 품은 달) - 강현범, 김지춘, 배혜국, 송형준, 이종민
2. 뺑파뎐 - 백인숙, 배진숙, 이윤서
3. 각설이춤 - 이은하, 이유미, 송형준, 이종민
4. 동고동락(同鼓同樂)
- 강현범, 배혜국, 태평소/조송대, 타악/김인두, 박진희
5. 흥춤 - 이은하, 김지춘, 타악/김인두, 박진희, 태평소/조송대
6. 수랏간 맛보기(대장금) - 무용단 전단원
9월18일 _관현악단공연
5색 무늬 산조의 향 “흥(馫)”
1. 이생강류 대금산조
- 대금/이항윤, 장단/김인두
2. 김일구류 아쟁산조 병주
- 아쟁/황승주, 박인정, 장단/박진희
3. 지영희류 해금산조
- 해금/장윤미, 장단/김인두
4. 최옥산류 가야금산조
- 가야금/박달님, 장단/박진희
5. 한갑득류 거문고산조
- 거문고/위은영, 장단/김인두
9월25일 _일본 김순자 한무악 예술단 초청 공연
한국 전통무용의 밤 – 화초별감
1. 태평무 - 김순자(한무악 예술단장), 이중규
2. 성주풀이 춤 - 김춘강, 금용숙, 오우미, 이나미
3. 진도 구음살풀이 - 김순자
4. 화초별감 - 이중규
5. 봉산 탈춤 중 미얄할미과장 - 김춘강, 금용숙, 이나미
6. 월화 춤(산조춤) - 김순자
7. 금강산타령 춤 - 김춘강, 금용숙, 오우미, 이나미
10월16일_창극단 공연
해학과 익살의 진수 “남성명창! 흥보가 연창 무대”
1. 흥보가 중 “흥보 비는 대목”- 소리/이충헌, 고수/김인두
2. 흥보가 중 “제비 노정기”대목”- 소리/김광오, 고수/고양곤
3. 흥보가 중 “첫째박 타는 대목”- 소리/유재준, 고수/김인두
4. 흥보가 중 “둘째박 타는 대목”- 소리/김성렬, 고수/고양곤
5. 흥보가 중 “화초장 대목” - 소리/박건, 고수/김인두
6. 남도잡가 “육자백이” - 천희심, 박영순, 문영주, 김춘숙, 최경희, 배옥진, 이연정
10월23일
한· 중· 베트남 대나무 악기 뮤직 페스티벌 “2014 peace korea”
1. 개량단소 중주 “들판에서”
- 개량단소/이항윤, 25현/박달님, 아쟁/강택홍, 양금/김정은, 장구/김인두
2. 디즈(笛) 독주곡 “춘강화월야(春江花月夜)”
- 디즈/교해보 (乔海波 / QIAO HAI BO)
3. 단바우(Dan Bau)독주곡 “자장가”(베트남 남부 민속 음악)
- 단바우/투옛마이 (Tuyet Mai)
4. 생황(笙) 독주곡 “기몽산소(沂蒙山小)”- 생황/진 (臻/Zhao Zhen)
5. 서용석류 대금산조 – 대금/김건형, 장단/박진희
6. 얼후(二湖) 독주곡 “로(路)”- 얼후/단애애 (段皑皑 /DUAN AI AI)
7. 키롱(K'long)독주곡 “봄은 오고 있다”- 키롱/투옛마이 (Tuyet Mai)
8. 소금독주 “강원풍류”- 소금/이항윤
9. 고음 대나무 피리 독주곡 - 딘 낫 민 (Dinh Nhat Minh)
10. 디즈(笛).생황(笙).얼후(二湖) 3중주곡 “포도숙료 (葡萄熟了)”
- 디즈/교해보, 생황/진, 얼후/단애애
10월30일 _창극단
해학창극 “변학도뎐”
1. 단막창극 “변학도뎐”
- 변학도/송재영 (창극단장),
이방/고양곤,
행수기생/김공주,
그 외 창극단 전단원
11월13일 _관현악단 공연
도내 우수연주자 협연의 밤
1. 대금협주곡 “대바람 소리”(작곡/이상규) - 대금/이성구
2. 아쟁협주곡 “아라성”(작곡/조원행) - 아쟁/김은영
3. 해금협주곡 “상생”(작곡/조원행) - 해금/김나영
4. 거문고협주곡 “강상유월”(작곡/오혁) - 거문고/이슬기
5. 피리협주곡 “코사무이”(작곡/오혁) - 피리/장현석
6. 가야금협주곡 “아랑의 꿈”(작곡/김계옥, 편곡/박위철) - 가야금/김호빈
11월20일 _3단합동공연
가을을 보내는 가.무.악의 밤“만추(晩秋)”
1. 북한악기 5중주 “윳놀이, 황금벌”
- 조송대, 이재관, 서인철, 조용오, 박상후, 장고/김인두
2. 승무 - 김미숙, 송형준, 장단/배혜국
3. 단소독주 “청성곡”- 단소/이항윤
4. 무용 “입춤”- 강현범, 김지춘, 배혜국, 송형준, 이종민
5. 대금과 가야금 2중주 “린”- 대금/서정미, 가야금/백은선
6. 단막창극 “어사상봉”
- 어사/송재영 (창극단장), 월매/천희심, 향단/차복순
11월27일 _무용단 공연
“원향(圓鄕)”-향토(鄕土)의 춤을 세우다
1. 한량무 - 김무철
2. 사랑가 - 손병우, 홍금산
3. 호남산조 - 이길주
4. 동초수건춤 - 최 선
5. 전라삼현승무 - 문정근
6. 손수건춤 - 김광숙
7. 호남살풀이 - 장인숙
8. 도살풀이 – 김수현
12월4일 _3단합동 공연
천년의 울림, 천년의 소리, 천년의 몸짓
1. 해금과 거문고 2중주 “열정”
- 해금/장윤미, 거문고/장연숙, 안은정, 장고/박진희
2. 풍류장고 - 무용단 여자단원, 반주/이종민
3. 판소리 춘향가 중 “동헌경사”
- 소리/송재영(창극단장), 고수/유재준
4. 영화음악 “베사메 무초”외 2곡
- 박덕귀, 서정미, 고은현
5. 남도민요 “성주풀이, 삼산은 반락, 개고리타령”
- 창극단 전단원
6. 모듬북 - 천(天)·지(地)·타(打)·풍(風)
- 무용단 전단원, 태평소/서인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