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창모,화백은...고향땅...전주가..그리워서...언제나...타향살이..노래와...꿈에본,내고향...노래을...불으며...고향땅을 그리워하며...전주에...와보는것을...평생에...희망과...꿈으로...알고...돌아오지못할...분단의 아픔을...가슴에 안고서...일생동안...동양화그리기에...매진했다고...한다...이런, 한민족의...분단의아픔을...동양화의 미술로 승화시킨...예술인...동양화가...정창모의...동양화역사..전시관(전시회)을...전북도에서...전시하고...세계인들...관광객들에게...전주의 자랑거리로...전주의인물로...자랑하고...추모하는것은?...너무도 당연하고...옳바른일..일것이다.
그래서...전북도립미술관에...정창모의동양화...전시회을...추천하고...추진하는것입니다.
존경하고...훌륭한...동양화가..정창모!...그을, 추모하고...그의,넋을...달래기위하여!...
.
2013년 7월 31일....서울에서...
전주,출신...시 암, 오 태 규.
..............................................................................................................
.......................................................................
................................
국제전 금상 수상 (인민) 정창모 (월북화가)
작 품 명 : 칠보산 면경대의 가을 작 품 명 : 묘향산 불영대 작 품 명 : 태백산성의 봄 작 품 명 : 평양모란봉 청류문의 봄 작 품 명 : 모란봉 청류벽 작 품 명 : 세검정의 겨울
작 품 명 : 봄날 작 품 명 : 석류 작 품 명 : 풍요한 가을 작 품 명 : 련꽃과 물촉새 작 품 명 : 묘향산의 폭포구경 작 품 명 : 풍요한 대지 작 품 명 : 정물 작 품 명 : 묘향산 불영대 작 품 명 : 국화 작 품명 : 산촌의 정서 작 품 명 : 향산의 가을 작 품 명 : 묘향산 상원동의 봄 작 품 명 : 축복 작 품 명 : 금강산 보덕암 작 품 명 : 만폭동 계곡 작 품 명 : 석류 작 품 명 : 묘향산 불영대 작 품 명 : 달밤의 정 작 품 명 : 풍요한 대지 작 품 명 : 새와국화 작 품 명 : 가을의 풍미 작 품 명 : 금강산선하계곡여름 작 품 명 : 묘향산상원동 작 품 명 : 석왕사 조개문 작 품 명 : 황해금강 장수산 작 품 명 : 열매맺은 가을 작 품 명 : 소나무와 진달래 작 품 명 : 금자란 작 품 명 : 가을의 정서 작 품 명 : 비파 작 품 명 : 꽃정물 작 품 명 : 가을의 정서 작 품 명 : 묘향산 하비로암 칠성골에 물소리 높다 작 품 명 : 백목련 |
북한의 예술가 선우영, 정창모 작품전기존의 동양화에서 꺼리던 채색 과감히 도입하는 등 작품에서 독창성 보여
|
승인 2013.07.16 04:28:21 |
|
|
.................................................................................................................................................................................
.........................................................................................................................
.......................................................................
음악,미술] 내가 만난 북 최고의 화가 정창모와 선우영 |
글쓴이 : 붓꽃
![]() |
![]()
................................................................................................. .................................................... 저작권법에...해당됨으로...복사하면...안됩니다... |
댓글 0
............................................................................................................
...........................................................................
................................................
두산백과
정창모
[ 鄭昌謨 ]
1931.12.16 ~
효원(曉園)
북한
미술(조선화)
전북 전주시
국제미술전람회 금상, 특별상 10여 회
공저 《화조화기법》 《풍경화 기법》 《필치론》
《북만의 봄》(1966), 《금강산계곡》(1970), 《만경대의 봄》(1972), 《비봉폭포의 가을》(1976)
호는 효원(曉園)이다. 1931년 12월 16일 전라북도 전주에서 태어나 완산초등학교에 다닐 때부터 그림에 두각을 나타냈다. 6·25전쟁이 일어나자 인민의용군에 입대해 월북한 뒤, 1963년 평양미술대학 졸업작품인 조선화 《배머리에 오신 어버이수령님》으로 북한 화단의 주목을 받기 시작하였다.
이후 평양교원대학 교원과 조선미술가동맹 현역 미술가를 거쳐 만수대창작사 조선화창작단 풍경화실 실장(1975), 공훈예술가(1977), 조선미술가동맹 중앙위원(1980), 국가작품심의위원회 조선화부문 심의위원(1980)을 지냈고, 1989년부터 북한의 예술인들에게 수여되는 최고의 국가 영예 칭호인 인민예술가로 활동하고 있다.
화조화·인물화·풍경화·정물화 등 조선화의 각 장르는 물론, 미술 이론에도 두루 뛰어나다는 평을 받고 있다. 3,000여 점이 넘는 작품을 그렸는데, 대부분의 작품이 부드럽고 간결하면서도 생동감 넘치는 회화 기법으로 묘사되어 있다. 특히 1966년 제9차 국가미술전람회에 출품한 《북만의 봄》은 국제미술전람회에서 10여 회의 금상과 특별상을 받는 등 국제적으로도 주목을 받았다. 2002년 현재 100여 점이 북한의 국보급으로 인정받아 조선미술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주요 작품에 《북만의 봄》 《금강산계곡》(1970), 《만경대의 봄》(1972), 《비봉폭포의 가을》(1976), 《백두산의 봄》(1977), 《금부리의 가을》(1984), 《분계선의 옛집터》(1985) 등이 있다. 2000년 8월 14일 이산가족 상봉 때 1차 상봉단의 일원으로 서울을 방문하기도 하였다.
[네이버 지식백과] 정창모 [鄭昌謨] (두산백과)
................. 북한의 미술] 정창모, 북한 미술계 서정적 표현의 대가
북한예술/ 북한의 문화
2013/07/30 15:50
[출처] [북한의 미술] 정창모, 북한 미술계 서정적 표현의 대가|작성자 평화문제연구소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