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더

스킵 네비게이션


자유게시판

전북대학교박물관 제6기 박물관대학 운영
전북대학교박물관 | 2012-04-10 | 조회 2095
전북대학교박물관 제6기 박물관대학 운영
 
전북대학교박물관은 전북의 예술문화 특별기획 2012 제6기 박물관대학을 개설하였습니다.
 
제6기 박물관대학은 2012 전북방문의 해를 기념하여 예향의 고장 “전북”이 가지고 있는 문화자산 가운데 서화문화에 대한 심화교육프로그램을 특별기획하였습니다.
이번에 특별기획한 제6기 박물관대학은 「그림, 글씨, 그리고 전북」이라는 주제로, 우리지역 예술작품의 특성과 역사적 인물들에 대한 이해, 그리고 전북 문화예술의 우수성과 자긍심을 높이는 계기가 될 것입니다. 또한 서화예술의 세계를 다양한 각도에서 접근해봄으로써 전북서화의 맥과 흐름을 총체적으로 재조명하는 시간이 될 것입니다.  
문화예술에 관심 있는 대학생 및 지역민의 많은 관심과 수강을 부탁드립니다.
 
o 주    제 : 2012 전북 방문의 해 기념 특별 기획 「그림, 글씨, 그리고 전북」
o 운영기간 : 1학기 - 2012. 5. 23 ~7. 18(7회 강좌, 1회 답사)
                     2학기 - 2012. 9. 5 ~ 10. 10(4회 강좌, 1회 체험)
o 장    소 : 전북대학교박물관 강당
o 모집인원 : 100명 이내(유선접수 및 수강료 납부자 선착순)
o 대    상 : 문화예술에 관심이 많은 지역민(대학생 포함)
o 수 강 료 : 7만원(재료비 포함, 답사비별도)
o 신청접수 :
      기간 : 2012.4.10(화)~2012.5.18(금)
      방법 : 유선 접수(063-270-3488) 후 수강료 입금
             (계좌번호 : 전북은행 529-13-0329198, 전북대학교박물관)
      공지 : 수강료 입금 확인 후 수강 확정 및 유선 공지
o 문    의: 전북대학교박물관 행정실(063-270-3488)이나
                담당자(063-270-4088)


⋄강의일정 : 2012. 5.23~10.10 매주 수요일 15:00~17:00

-  畵

1) 5월23일
한국 회화의 흐름
안휘준(서울대학교 명예교수)
통시적 관점에서 한국 회화의 개괄적인 흐름과 역사를 통해 호남 화단의 형성 배경을 살펴봄

2) 5월30일
전북 회화의 흐름
이철량(전북대학교 미술학과 교수)
전북을 대표하는 작품들을 통해 전북 회화의 개괄적인 흐름과 역사를 살펴봄

3) 6월13일
최초의 여류 화가 순창 설씨와 조선 전기 화단
이원복(국립중앙박물관 학예연구실장)
신사임당보다 77년이 앞선 최초의 여류 화가 순창 설씨   의 작품세계와 조선 전기 화단의 성격과 흐름을 살펴봄

4) 6월20일
조선의 회화와 호생관 최북
권혜은(국립전주박물관 학예연구사)
조선 후기 회화사에 많은 일화를 남긴 호생관 최북   의 인생과 예술세계를 살펴봄

5) 6월27일
조선의 묵포도와 낭곡 최석환
이선옥(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HK교수)
다산과 풍요를 상징하는 우리의 문화 속에 자리 잡고    있는 묵포도의 역사와 예술적 가치를 알아보고 낭곡     최석환의 생애와 예술세계를 살펴봄

6) 7월4일
호남 문인화와 석정 이정직
진준현(서울대박물관 학예연구관)
호남 문인화의 특징과 이를 이어온 인물들의 이야기를 중심으로 석정 이정직의 생애와 예술세계를 살펴봄

7) 7월11일
조선 말기 초상화와 어진화사 석지 채용신
정석범(고려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 강사)
조선 말기 초상화의 특징과 새로운 초상화 기법을 활용한 석지 채용신의 생애와 예술세계를 살펴봄

8) 7월18일
답사 - 서울 지역 미술관 및 박물관      


- 書

9) 9월5일
한국 서예의 흐름
김병기(전북대학교 중어중문학과 교수)
한국 서예의 역사적 흐름과 전북 서단의 형성과정을 살펴봄

10) 9월12일
전북 서예의 계보
김진돈(전라금석문연구회장)
전북 서단의 뿌리를 일군 서예가들의 계보를 통해   전북 서예의 흐름을 파악해 봄

11) 9월19일
창암 이삼만과 우리서체의 확립
이동국(예술의전당 서예박물관 수석큐레이터)
조선 후기의 명필 창암 이삼만의 작품을 통해 그의 삶   과 예술을 살펴보고 우리서체의 확립에 대해 재조명함

12 ) 9월 26일
응용미술로서의 서예와 대중화
이상현(원광대학교 서예과 초빙교수)
문자에서 예술로 진화해가는 응용미술로서의 서예와 대중화를 위한 비전을 살펴봄

13) 10월10일
문인화 그리기 및 수료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