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예창 기획강좌-영화사용법읽기(신귀백, 영화평론가)
문화연구창 | 2011-06-16 | 조회 1979
全州와 영화 사이 - 영화로 읽는 전주
(사)문화연구창, '여덟가지 열쇠말로 찬찬히 문화읽기' 기획강좌
(사)문화연구창(대표 유대수)은 6월 21일 저녁 7시 문화예술아카데미 인문예창 ‘기획강좌 - 여덟가지 열쇠말로 찬찬히 문화읽기’ 세번째 강좌 ‘영화사용법 읽기’를 시작할 예정이다.
여덟가지 열쇠말로 찬찬히 문화읽기는 우리 지역을 통해 인문학과 문화예술을 바라보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기획되었다. 기획강좌의 키워드인 여덟가지 열쇠말은 전라도말글, 지역현대사, 영화, 인형극, 만화, 국악, 소셜미디어, 시(詩)로, 지난 시간 진행된 호남사회연구회 이성호 연구기획실장의 ‘지역현대사 읽기’는 ‘해방 ․ 전쟁 ․ 혁명, 그리고 동원된 근대사’라는 소주제를 가지고 우리 근현대 역사 속에서 지역민의 삶이 변화하는 과정을 통하여 지역현대사를 돌아보는 시간을 가졌다.
6월 21일(화) 세번째 시간은 ‘영화사용법 읽기’라는 주제로 영화평론가 신귀백의 강좌가 이뤄진다. 영화평론가 신귀백은 전주의 대표 문화 월간지 <문화저널>을 통해 솔직한 영화평론을 발표해왔으며, 영화와 문학이 절묘하게 접목된 영화 평론집 『영화 사용법』을 출판하기도 했다. 이번 강좌에서 영화평론가 신귀백은 전주를 통한 영화 읽기를 시도한다. 그 내용은 전주 국제영화제, 전주 영화촬영지, 전주의 영화인들이다.
이후 강좌는 6월 28일 인형극 읽기(전춘근, 극단까치동 대표), 7월 5일 만화 읽기(나병재, 만화가), 7월 12일 국악밴드 읽기(이창선, 이창선과 대금스타일 대표), 7월 19일 소셜미디어 읽기(성재민, 선샤인뉴스 편집장), 7월 26일 시시(詩詩)한 마당놀이(박남준, 시인)로 이어진다.
일시 : 6월 21일부터 7월 26일까지(매주 화요일 저녁 7시~), 장소 : 문화공간 자만재(전주 한옥마을 내), 수강료 : 4만원(개별강좌 수강시 5천원), 문의 063-227-1288
강연자 소개 : 신귀백
전남 나주에서 출생했으며, 현재 교사 ‧ 영화평론가로 활동하고 있다. <문화저널>을 시작으로 <시와 사람> <문예연구> 등 여러 매체에 영화평을 쓰면서 전북작가회의 회원으로 활동했다. 전북비평포럼 대표와 전북독립영화제 조직위원으로 섞여 살면서 영화 자체의 아우라보다는 삶을 끌어들여 텍스트의 결을 풍부하게 하는 글쓰기를 지향하고 있다. 저서로는 『영화 사용법』이 있다.
□ 강좌 개요
○ 제목 : 기획강좌 - 여덟가지 열쇠말로 찬찬히 문화읽기
○ 기획의도
- 전북 문화와 예술의 여러 분야 중 열쇠말을 찾아 삶과 문화, 지역성에 대한 대화식 강의 진행
- 해당 분야 전문가를 초빙하여 미래와 전통, 계승과 발전을 아우르는 담론 형성
○ 기간 : 2011. 6. 07 ~ 7. 26 (매주 화요일 오후 7시~9시, 8주 과정)
○ 장소 : 문화공간 자만재(전주 한옥마을 내, 063-227-1288)
○ 대상 : 문화예술 각 분야 종사자 및 일반도민
○ 수강료 : 4만원 (개별 강좌당 5천원 기준)
○ 주최 및 주관 : 지역문화정책연구소 (사)문화연구창
○ 후원 : 전라북도
□ 강좌별 주제
○ 강좌구성 : * 강좌당 제목과 내용은 각 강의자가 추후 선정함
1. 6. 07(화) : 전라도 말글 읽기 (김규남, 전주대 언어교육원 교수)
2. 6. 14(화) : 지역현대사 읽기 (이성호, 호남사회연구회 연구기획실장)
3. 6. 21(화) : 영화사용법 읽기 (신귀백, 영화평론가)
4. 6. 28(화) : 인형극 읽기 (전춘근, 극단까치동 대표)
5. 7. 05(화) : 만화 읽기 (나병재, 만화가)
6. 7. 12(화) : 국악밴드 읽기 (이창선, 이창선과 대금스타일 대표)
7. 7. 19(화) : 소셜미디어 읽기 (성재민, 선샤인뉴스 편집장)
8. 7. 26(화) : 시시(詩詩)한 마당놀이(박남준, 시인)
※ 수강신청 및 프로그램 문의
063-227-1288 / mimi1001@hanmail.net, 016*********
(사)문화연구창, '여덟가지 열쇠말로 찬찬히 문화읽기' 기획강좌
(사)문화연구창(대표 유대수)은 6월 21일 저녁 7시 문화예술아카데미 인문예창 ‘기획강좌 - 여덟가지 열쇠말로 찬찬히 문화읽기’ 세번째 강좌 ‘영화사용법 읽기’를 시작할 예정이다.
여덟가지 열쇠말로 찬찬히 문화읽기는 우리 지역을 통해 인문학과 문화예술을 바라보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기획되었다. 기획강좌의 키워드인 여덟가지 열쇠말은 전라도말글, 지역현대사, 영화, 인형극, 만화, 국악, 소셜미디어, 시(詩)로, 지난 시간 진행된 호남사회연구회 이성호 연구기획실장의 ‘지역현대사 읽기’는 ‘해방 ․ 전쟁 ․ 혁명, 그리고 동원된 근대사’라는 소주제를 가지고 우리 근현대 역사 속에서 지역민의 삶이 변화하는 과정을 통하여 지역현대사를 돌아보는 시간을 가졌다.
6월 21일(화) 세번째 시간은 ‘영화사용법 읽기’라는 주제로 영화평론가 신귀백의 강좌가 이뤄진다. 영화평론가 신귀백은 전주의 대표 문화 월간지 <문화저널>을 통해 솔직한 영화평론을 발표해왔으며, 영화와 문학이 절묘하게 접목된 영화 평론집 『영화 사용법』을 출판하기도 했다. 이번 강좌에서 영화평론가 신귀백은 전주를 통한 영화 읽기를 시도한다. 그 내용은 전주 국제영화제, 전주 영화촬영지, 전주의 영화인들이다.
이후 강좌는 6월 28일 인형극 읽기(전춘근, 극단까치동 대표), 7월 5일 만화 읽기(나병재, 만화가), 7월 12일 국악밴드 읽기(이창선, 이창선과 대금스타일 대표), 7월 19일 소셜미디어 읽기(성재민, 선샤인뉴스 편집장), 7월 26일 시시(詩詩)한 마당놀이(박남준, 시인)로 이어진다.
일시 : 6월 21일부터 7월 26일까지(매주 화요일 저녁 7시~), 장소 : 문화공간 자만재(전주 한옥마을 내), 수강료 : 4만원(개별강좌 수강시 5천원), 문의 063-227-1288
강연자 소개 : 신귀백
전남 나주에서 출생했으며, 현재 교사 ‧ 영화평론가로 활동하고 있다. <문화저널>을 시작으로 <시와 사람> <문예연구> 등 여러 매체에 영화평을 쓰면서 전북작가회의 회원으로 활동했다. 전북비평포럼 대표와 전북독립영화제 조직위원으로 섞여 살면서 영화 자체의 아우라보다는 삶을 끌어들여 텍스트의 결을 풍부하게 하는 글쓰기를 지향하고 있다. 저서로는 『영화 사용법』이 있다.
□ 강좌 개요
○ 제목 : 기획강좌 - 여덟가지 열쇠말로 찬찬히 문화읽기
○ 기획의도
- 전북 문화와 예술의 여러 분야 중 열쇠말을 찾아 삶과 문화, 지역성에 대한 대화식 강의 진행
- 해당 분야 전문가를 초빙하여 미래와 전통, 계승과 발전을 아우르는 담론 형성
○ 기간 : 2011. 6. 07 ~ 7. 26 (매주 화요일 오후 7시~9시, 8주 과정)
○ 장소 : 문화공간 자만재(전주 한옥마을 내, 063-227-1288)
○ 대상 : 문화예술 각 분야 종사자 및 일반도민
○ 수강료 : 4만원 (개별 강좌당 5천원 기준)
○ 주최 및 주관 : 지역문화정책연구소 (사)문화연구창
○ 후원 : 전라북도
□ 강좌별 주제
○ 강좌구성 : * 강좌당 제목과 내용은 각 강의자가 추후 선정함
1. 6. 07(화) : 전라도 말글 읽기 (김규남, 전주대 언어교육원 교수)
2. 6. 14(화) : 지역현대사 읽기 (이성호, 호남사회연구회 연구기획실장)
3. 6. 21(화) : 영화사용법 읽기 (신귀백, 영화평론가)
4. 6. 28(화) : 인형극 읽기 (전춘근, 극단까치동 대표)
5. 7. 05(화) : 만화 읽기 (나병재, 만화가)
6. 7. 12(화) : 국악밴드 읽기 (이창선, 이창선과 대금스타일 대표)
7. 7. 19(화) : 소셜미디어 읽기 (성재민, 선샤인뉴스 편집장)
8. 7. 26(화) : 시시(詩詩)한 마당놀이(박남준, 시인)
※ 수강신청 및 프로그램 문의
063-227-1288 / mimi1001@hanmail.net, 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