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더

스킵 네비게이션


진격하는 B급들
본관

진격하는 B급들

전시기간
2025-08-01 ~ 2025-11-02
기간세부설명
2025.8.1(금) - 2025.11.2(일)
작품수
72 점
전시장소
전북도립미술관 1-5전시실
전시분야
회화, 설치, 뉴미디어 등
주최 및 후원
전북도립미술관
담당자 및 문의처
063-290-6888
참여작가
김옥선, 남다현, 노한솔, 듀킴, 마사 로슬러(Martha Rosler), 방정아, 소보람, 안젤리카 메시티(Angelica Mesiti), 야나기 미와(Yanagi Miwa), 엄수현, 업체(eobchae)×류성실, 이강승, 이선민, 이영욱, 이은새, 이지양, 전나환, 정연두, 정은영(Siren Eun Young Jung), 제이콥 그로스-옵호프(Jakob Grosse-Ophoff), 졸배, 클레어 퐁텐(Claire Fontaine), 허태원


《진격하는 B급들》은 신자유주의와 자본주의적 삶의 조건에 의해 밀려난 파편, 이른바 ‘B급‘으로 간주되는 존재들의 이야기에 주목하고, 오늘날 회귀하는 전체성의 논리에 대항하는 실천적 예술을 조명한다. 전시에 참여하는 작품들은 다양한 시각언어를 경유하여 이분법적 규범과 포함-배제의 이데올로기를 직시하는 전략을 구사하고, B급 시각언어와 병치juxtaposition의 미학을 바탕으로 지속 가능한 세계에 대한 사유를 제안한다.


전시는 크게 3장으로 구성되며, 각각 관람객 · 예술가 · 미술관을 전시라는 커뮤니티의 구성원으로서 호명한다. 1장에서는 어떻게 시각예술이 고급-저급, 정상-비정상의 이분법을 해체하고 '아래로부터의 민주주의'에 개입하는지 탐구한다. 여기에 참여하는 작품들은 수용자를 관람객이자 시민이라는 양가적 위치로 호명하여, 여전히 '타자'의 자리에 머물러있는 존재들의 초상과 시각 언어의 중첩을 통해 대상을 ‘미적으로’ 바라보는 태도의 모순에 대해 질문하고 오늘날 파편화된 공동체를 가시화한다. 2장에서는 일상적 행위가 곧 예술 실천과 결합할 때, 자원으로서 시간의 가시성과 생산성에 대해 질문하고 현재와 미래, 현실과 이상 등 이질적 요소의 교차점에서 자본세Capitalocene 바깥의 평등한 세계를 상상한다. 3장에서는 모든 것을 교환가치로 환산하는 시장 논리와 착취가 일상이 된 현실에 미술의 형식을 겹쳐 놓은 작품들과 함께하여, 자본주의적 삶의 조건에 대한 담론장으로서 공립미술관의 역할에 대해 탐구한다.


제목에서 암시하듯, 《진격하는 B급들》은 전시라는 커뮤니티를 통해 여전히 ‘급’을 나누는 규범들의 경직성과 위계에 대항하는 ‘B급’들의 이야기가 교차하는 장소이자, 담론과 실천을 동기화하려는 시도이다. 


(김다이, 전북도립미술관 학예연구사)




The B-Class Jokes focuses on the stories of beings regarded as so-called "second-class", fragments pushed out by neoliberalism and capitalist conditions of life, and shed light on art practice that resist the logic of totality that reemerging today. Based on the aesthetics of “B-class” and juxtaposition, the artworks in the exhibition use strategies to confront the ideology of dichotomous norms and inclusion-exclusion through various languages, and propose reflections on the possibility of an alternative and sustainable world.


The exhibition is composed of three chapters, inviting spectator, the artist and the art museum itself as members of the community called the ‘exhibition'. Chapter 1 explores how art dismantles the dichotomies such as high-low or normal-abnormal, and intervenes in 'democracy from below'. This chapter interpellates the spectator into the ambivalent position of both ‘viewer’ and ‘citizen’, questioning the contradiction of in attitude of looking at the 'aesthetically' through the overlapping portraits of beings who still remain in the position of the 'other' and visualize today's fragmented community. Chapter 2 asks about the visibility and productivity of time as an economic resource when everyday actions combine with art practice. This question is linked to an imagination of an equal world beyond the Capitalocene at the intersection of heterogeneous elements such as present and future, reality and ideal, etc. Chapter 3 explores the role of art museums as a public sphere where a discourse on the conditions of capitalist life unfolds through works that overlap the forms of art and a reality in which market logic and exploitation have become everyday conditions, converting everything into exchange value.


As implied in the title, The B-Class Jokes is a site where the stories of "second-class citizens" who resist the hierarchy and rigidity of norms that still classify beings intersect through the community of exhibition, and where an attempt to synchronize discourse and practice take place.


(Kim Dai, Curator, Jeonbuk Museum of Art)



  • 진격하는 B급들
    진격하는 B급들
    본관 | 2025-08-01 ~ 2025-11-02
  • 전북도립미술관 전시형 교육 프로그램 《아이스크림 똥》
    전북도립미술관 전시형 교육 프로그램 《아이스크림 똥》
    본관 | 2025-04-25 ~ 2025-10-26
  • JMA예술정원프로젝트 《산책하는 집》
    JMA예술정원프로젝트 《산책하는 집》
    본관 | 2025-05-02 ~ 2025-10-12